정보

한국사회 복지실천 발달과정

2021. 5. 12.

카바와 같은 외원 단체의 활동은 종교적 선교활동 또는 구호활동에 중점 되어 있었다. 그래서 사회복지 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렇지만 구미의 전문 사회복지 실천 개념과 실천 방법은 전파되었다.

외원 단체의 영향

외원 단체들이 활동하면서 우리나라의 발전에 여러 가지 영향을 주었다. 하나씩 살펴보면 한국의 사회산업이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전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 전문 사회산업이 시작되도록 하였고 시설 중심의 사회 산업이 발전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의 사회복지가 거시적인 정책보다 미시적인 사업 위주로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한국인이 사회사업을 자선사업이나 구호사업과 같은 것으로 인식되게 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민간사회사업은 외원에 의존하였는데, 외원 단체가 철수해서 의지할 데 없던 사회사업은 정부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래서 민간부문이 정부의 통제로 편입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영향을 미친 데에는 우리나라가 전문적인 사회복지 실천이 정착되지 않아서 그렇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식 사회복지 실천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았다. 그러면서 실상에 이런 내용들이 적용되면서 우리나라에 맞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이 개발되지 못했다. 그리고 시설 수용보호 위주의 방법에서 탈피하지도 못하여 아동, 노인, 장애인, 부녀, 정신질환 등의 분야로 나뉘어서 발전되어 왔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사회복지사업을 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들은 크게 어린이재단과 월드비전이 있다. 어린이재단은 예전에 기독교 아동복지회로 시작되어 한국 복지재단이라는 이름을 거쳐 초록우산 재단으로 변경되었다. 월드비전은 선명회에서 시작하여 한국 월드비전으로 바뀌었다. 홀트 아동복지회는 이름 변경 없이 아직도 사회복지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지역사회복지회는 세이브 더 칠드런으로 이름이 변경되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캐나다 유니테이런 봉사회는 한국봉사회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가정복지회는 메노나이트 중앙재단에서 이름이 바뀌었고 양친 사회복지회는 양친회에서 변경된 사업 이름이다. 마지막으로 태화 복지재단이 있으며 한국 아동복지회는 스웨덴 아동 구호 연맹에서 바뀐 이름이다.

제도적 발전

사회복지학과는 1947년에 이화여대에 최초로 사회사업 학과가 신설되었다. 이후 1953년에 강남대학교에 사회사업 학과가 개설되었으며 195년에는 서울대 대학원에 사회복지 전공이 만들어졌다. 그렇게 쭉 학과가 개설되다가 2015년에는 전국 92개 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신설되었다. 이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회 소속의 사회복지학과이니 실제 따져보면 더 많은 수의 대학에 개설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사회복지학은 1970년에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되어 사회복지사업 종사자로 최초 명시되었다. 그리고 1983년에 해당 법이 개정되어 사회복지사 자격제도가 신설되었다. 그리고 1996년에 정신보건법이 시행되어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배출되었다.

 

2003년부터는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이 실시되었으며 1993년에는 태화 은평 종합사회복지관에서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집단 지도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특수학급 학생이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학교 사회사업이 시작되었고 1997년에 한국학교 사회복지 학회가 설립되었다.

 

그러면서 1921년에 태화 여자관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복지관이 개소되었다. 지금의 태화 복지재단이다. 이후 1958년에 한 노병원에서 의료사회사업가가 고용되었으며 1987년에 사회복지 전문요원이 배치되기 시작하였다. 지금으로 보면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이다.

 

앞으로 사회문제들은 점점 복잡해질 예정이다. 사회문제가 다양해지고 노인 수명이 점점 늘어나며 저출산 현상과 청소년 문제,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넘어가는 문제, 가정해체 노숙인 문제와 북한 이탈주민 정착 등 점점 많은 사회문제들이 생기고 있다. 이런 식으로 사회현상들이 복잡해지며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복지기관들이 보 다전 문화 된 기관으로 발전해야 하며, 사회복지 기관에 대한 재정지원 창구가 다양화되어서 유형별이나 특성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회복지기관들끼리 협력체제와 연결망이 구성되어야 하며 우리의 전통, 상황, 가족이 나사회 제도에 걸맞은 사회복지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외지원 사업에도 힘을 쏟아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 점점 사회복지 실천 영역이 전문화되고 토착화된 사회복지 실천방법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 사회복지사의 위상이 강화되고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겠다. 이렇게 한국사회 복지 실천의 발달과정에 대해 알아봤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